<2007 대전국제축산박람회> 눈에 띄는 기자재 ①
#(주)다스림=동물 건강에 관련된 제품과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업체인 (주)다스림은 이번 박람회에 음수량을 측정하는
정밀 투약기인 ‘셀렉트 도사’를 직접 시연했다.
타사 투약기가 최대 희석비율이 500:1인것에 비해 ‘셀렉트 도사’는 50:1에서 10000:1까지 희석비율을 자유자재로
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약품의 정확한 투여가 가능해 일일이 희석비율을 맞추지 못했던 양축가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.
#(주)리팜=2010년 가축분뇨 해양투기 금지를 앞두고 분뇨처리에 고민이 많은 양축가들에게 리팜이 선보인
리팜 시스템 NAS(축산분뇨액비화시스템)는 신선한 아이템으로 이목을 집중시켰다.
사료에 미생물보조제를 투여하고 축사에 미생물을 살포해 일반적인 발효처리만으로도 고효율 액비를 얻을 수 있어
경작농가들에게 도움이 되며 양축가들에게는 가축분뇨의 고민을 해결하고 축사내부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
특히 양돈농가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.
# 한아에쎄스=원거리 방역방제기는 인체의 관절현상을 이용한 방제시스템으로 상하좌우는 물론 하부 밑부분까지
살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.
또한 무선 리모콘 콘트롤 시스템, 저소음 초강력 터보팬을 장착했다.
#(주)고려비엔피=가축방역의 핵이라 할 수 있는 백신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고려비엔피는
‘힘있는 백신’이라는 뜻의 동물용 백신 ‘힘백’을 선보였다.
특히 돼지호흡기종합백신인 ‘돈호방-10’은 그 유명세에 걸맞게 양돈농가들의 문의가 끊이지 않아 상담을 하는
인파로 부스가 인산인해를 이뤘다. 고려비엔피는 이 외에도 ‘돈사방-PT’를 비롯해 ‘달구방 AN 오일백신’등을 선보였다.
# (주)성광시스템=30년간의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신기술 개발과 설계에서 개선된 축산용 자동급이, 급수, 환기시스템을
선보였다. 축우용과 양계용 자동급이 시스템은 물론 제한과 무제한 등 용량에 따른 양돈용 자동급이 시스템은
최근 사료량이 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해 개량형을 내놓았다.
또 축산용 환기 환풍기는 대형 36인치와 48인치 환풍기를 비롯해 속도조절형 960펜 원통형 환풍기를 선보였다.
# 신기원테크=축산분뇨 오․폐수 처리와 관련해 양돈농가의 액비탱크내 침전물과 부유물 발생에 효과적으로
대응할 수 있는 축산분뇨용 미세폭기기를 출품했다.
200~600톤 규모의 처리용량을 지니며 저장조내에 용존산소량이 증대돼 미생물 생존에 최적이고 발효된 요를 토양에 살포할 경우 악취와 흔적이 남지 않는 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.
# 에코바이런=축사오염의 주범인 음용수를 살균소독할 수 있는 클로나음수살균소독기를 개발해 선보였다.
이제품은 소금과 물을 전기분해해 안전한 형태의 치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, 축사에 공급돼는 물에 희석시켜 원천적으로
음용수의 오염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.
# 유로하우징=신형베이비돈사는 3단계 배기시스템으로 구성됐으며 내부에 부식방지판, 자동온도조절이 가능한
할로겐 보온등으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.
또 정전시 비상벨이 작동하며, 비상창이 자동개폐돼 안전성을 높였으며 질식사고 예방용 2단계 시스템을 갖췄다.
# 라이브맥=더블암 래핑기는 한 번의 회전에 양쪽에서 랩핑이 돼 작업시간이 절감된다.
회전부에 비례제어 유압 시스템을 도입, 안전성과 내구성을 강화했다.
첨단 전자제어기술(LCD무선리모콘)과 유압기술의 오토랩핑시스템을 자랑한다.
# 우리테크=뉴홀랜드 조사료장비 한국총판 우리테크는 원형베일러 BR시리즈를 선보였다.
2중 픽업캠 구조시스템을 갖춰 건초를 깨끗이 처리해 챔버안으로 공급하고 픽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한다.
정밀콘트롤러를 사용해 베일의 크기조정, 네트주입장치 등 모든작업이 가능하다.
# 명성=원형베일래핑복합기 '하나로'는 독일 도이치파의 최고의 기술력을 보여준다.
이 제품은 트랙터 한대로 베일러 작업과 래핑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해 높은 효율성을 자랑한다.
기체가 가벼워 기동성이 뛰어난 특징을 갖췄다.
# 원인터네셔널=베일작업과 래핑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원인터네셔널 복합기 FUSION은 국내 작업환경에 맞게
콤팩트한 디자인과 초광폭 싱글타이어를 장착해 어떠한 작업환경에서도 최고의 작업능률을 실현시킨다.
2007년 09월 18일자 농수축산신문